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컴파일시스템
- K-MOOC
- 자바스크립트
- 오블완
- biginteger사용법
- CSS 기초
- 해시
- 단국대학교 k-mooc
- 머신러닝
- Node
- 2차원배열정렬
- 우선순위큐
- 자바
- national instruments
- 티스토리챌린지
- 블록체인 강의
- 블록체인
- 디스크블록할당
- 딥러닝
- Entity
- 시스템프로그래밍
- 블록체인강의
- html기초
- K-MOOC 단국대학교 홍보단
- StringTokenizer
- 자바입력받기
- 자바문자열구분
- TypeScript
- stringreader
- 혁신의기술2:신뢰의미래 블록체인을 만나다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48)
열정 실천

vim vim Linux의 대표적인 텍스트 편집기로 vi와 호환된다. vim은 입력모드, 명령모드, ex모드 3가지 모드를 가지고 있다. 1. 명령모드 - 처음 vim 명령어로 편집기를 실행하면 들어가는 모드이다. - 문서를 실제로 편집하기 위해서는 i 나 a를 입력해야한다. - 이 모드에서 복사, 붙여넣기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2. 입력모드- 실제로 문서를 편집하기 위한 모드이다. 3. ex모드- 입력을 마친 후 저장을 하거나 종료를 할 수 있다. - w : 저장 / q : 종료 / i : 취소 입력모드에서 입력을 끝내고 esc 키를 누른 뒤 :wq 를 입력하고 enter를 치면! 저장하고 편집기 종료! gcc gcc란? 컴파일러. 소스파일을 이용해 실행파일을 만들 때까..

프로세스 :: 실행 중인 프로그램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메모리 상에 로드되면 그것을 프로세스라고 부른다. # 프로세스 vs 프로세서 프로세서는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인 CPU를 지칭하는 하드웨어이다. 프로세스가 생성되는 4가지 단계 1. 프로세스 제어 블록(PCB) 생성2. 프로그램 메모리 할당 (메모리 세그먼트 참고)3. 바이너리 프로그램 적재 (디스크->메모리)4. 프로그램 초기화 메모리 세그먼트 프로세스가 실행될 때 관련된 데이터가 관리되는 메모리상의 한 부분Text 세그먼트 (코드 세그먼트)Data 세그먼트Heap 세그먼트 Stack 세그먼트각각의 세그먼트에 저장되는 데이터 *static 변수 :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순간 data 세그먼트에 저장된다. 프로세스 상태 전이도 ..

시스템 콜 System call 이란? 응용 프로그램과 운영체제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파일을 저장하고 불러오거나 프로세스를 관리를 위해 시스템을 호출하려면 유저모드가 아닌 커널모드에서만 작업을 수행해야한다. 우리가 주로 작성하는 c, java 등의 응용 프로그램들은 직접 시스템 호출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시스템 콜 API를 통해 커널모드를 통한 작업을 수행한다. *메모리에 상주하는 운영체제의 부분을 kernel(커널)이라고 한다. 시스템 호출의 유형 5가지 1. 프로세스 제어 _ Process Control2. 파일 조작 _ File Manipulation3. 장치 조작 _ Device Manipulation4. 정보 유지 보수 _ Information Maintance5. 통신과 보호 _ ..

가상화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반으로 물리 컴퓨터 하드웨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세스이다. 가상화 기술로는 VM (가상머신)과 컨테이너가 있다. 가상머신 VM 가상화 전에는 하나의 물리 머신에 단일 OS가 설치되어 있다면 가상화 후에는 각각의 OS와 실행환경(CPU, 메모리, 디스크 등)을 독립적으로 가지는 가상머신이 2개 존재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 물리 서버를 여러 논리 서버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하지만 독립적인 VM을 생성할 때마다 Guest OS를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자원 이용면에서 비효율적이다. VM을 생성해주는 도구인 하이퍼바이저는 VM들에게 자원을 할당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번 실습 때 사용하는 Virtual Box이 이에 해당한다. 컨테이너 컨..

🙄 해시테이블이란? key - value 형태를 갖는 하나의 자료구조이다. ket : 무언가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 value : 그 검색어로 나온 결과 -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을 버킷, 슬롯이라고 한다. ✨해시 테이블은 key-value가 1:1로 매핑되어있기 때문에 삽입, 삭제, 검새의 과정에서 모두 O(1)의 시간복잡도를 가진다. 🙄 어떤 문제에서 Hash를 쓰는게 좋을까? String을 기반으로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해야 할 때 예를 들어 학생 이름과 성적을 저장하고 검색해야 할때배열을 쓴다면 2차원 배열을 이용해 0번째에는 이름 1번째에는 성적을 저장하고 학생이름으로 검색해 성적을 조회하려면 첫번재 요소부터 확인하며 해당이름을 찾아야한다. 하지만 해시를 쓰면 이름(key 값)으로 ..

만약 모자 3개 티셔츠 2개 바지 2개양말 3개가 있다고 하면 아래와 같이 모든 조합을 구해야 한다. 일일이 다 곱하기엔 너무너무 복잡했다.. 순서가 있는 조합의 개수를 구하는 공식을 구하고 있는 나와,,,😤모든 부분집합의 개수를 찾고 있는 정호랑 😟옆에서 재잘재잘 입으로 풀고 있는 승준이랑 😗 이러고 두 시간 째,,, 지켜보던 병찬햄이 문제보더니 10분만에 풀어제꼈다😲😲 👀👀 핵심은 한 종류의 옷을 안입는 경우를 개수 하나로 추가 시키는 것. 만약 a종류 의상인 a1, a2, a3 와b종류 의상인 b1, b2 와c종류 의상인 c1, c2 와d종류 의상인 d1, d2, d3 가 있다면 해당 종류 의상을 안입는 경우인 -0을 넣어주면 a종류 의상인 a0, a1, a2, a3 와b종류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