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자바입력받기
- 단국대학교 k-mooc
- StringTokenizer
- national instruments
- K-MOOC 단국대학교 홍보단
- K-MOOC
- Node
- 우선순위큐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블록체인 강의
- html기초
- 자바문자열구분
- 2차원배열정렬
- 시스템프로그래밍
- Entity
- 자바
- 디스크블록할당
- 해시
- 자바스크립트
- TypeScript
- 딥러닝
- stringreader
- 컴파일시스템
- CSS 기초
- 블록체인
- biginteger사용법
- 머신러닝
- 혁신의기술2:신뢰의미래 블록체인을 만나다
- 블록체인강의
- Today
- Total
목록CS/공부노트 (10)
열정 실천

온라인 쇼핑몰에서 시작해 현재는 주요 IT 기업의 인프라를 담당하고 있는 아마존! 아마존이 클라우드 서비스 기장에서 성공한 비결에 대해 알아보자 아마존은 클라우드 시장을 개척한 선도 기업이다. 아마존이 2006년 AWS를 처음 내놓았을 당시 업계 반응들은 냉담한 반응이었다. 아무대로 처음으로 시장에 발을 내디뎠기 때문에 다들 낯설었을 것이다. 이때 아마존은 사용자를 어떻게 끌어들였을까? 1. 낯선 신기술인 클라우드를 알리고 교육하기아마존이 처음 클라우드 서비스를 소개했을 때, 대부분의 기업들의 인식을 바꾸기 위해 아마존은 광범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AWS 홈페이지에 무료 교육 콘텐츠와 자습 자료를 제공해 누구나 쉽게 클라우드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유튜브에 다양한 튜토리얼 영상을 업로드하며..

이전 글에서 간단하게 살펴보았던 클라우드 컴퓨팅은 기본적으로 5개의 본질적 특징을 가진다. 👉🏻 주문형 자가 서비스(on-demand self-service)서버 시간, 네트워크 저장장치 등의 컴퓨팅 기능을 사람의 중재없이 필요한 만큼 자동적으로 확보해 사용할 수 있다. 👉🏻 폭넓은 네트워크 접근(broad network access)모바일 폰, 노트북, PDA, 태블릿 등을 통해 네트워크를 가용하게 된다. 👉🏻 자원 풀링(resource pooling)제공자의 컴퓨팅 자원은 다중-임대(multenat) 방식으로 다중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위해 줄 형태로 유지되며, 다양한 물리적 또는 가상적 자원이 사용자 요구에 따라 동적으로 할당 또는 재할당된다. 👉🏻 신속한 탄력성(rapid ela..

🤔 클라우드 컴퓨팅은 어떻게 생겨났나?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세계 최대의 인터넷 서점인 Amazon에서 시작되었다. 여러 개의 데이터센터에서 수십만 대의 서버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운영하는데 경우에 따라 일없이 놀고있는 서버들이 많이 보였고, 이러한 유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가상 서버(Virtual Server)를 만들어 필요한 고객에게 임대해주고 이용료를 받으면서 컴퓨팅 개념이 탄생하였다. Amazon은 실제로 이러한 서비스인 AWS(Amazon Web Service)를 상용화하였다. 🤔 클라우드 컴퓨팅 기초 관련 용어에 대해 알아보자 ▶️ 클라우드 : 원격으로 IT자원을 준비해 확장가능하고 측정가능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된 IT 환경을 의미..
멋사 운영진을 하게 되면서 백, 프론트를 당장 정해야할 때가 있었어 깊은 고민없이 난 디자인 요소가 아무래도 들어간 프론트를 선택했지? (공부하면서 디자인은 디자이너가 하고 프론트엔드도 코드만 치는 개발자였다는 사실을 알게됐지만,,) 여튼 한 학기동안 진심으로 공부했어 나 혼자만 공부하는게 아닌 5명의 프론트엔드 예비 개발자들을 양성한다는 큰 책임감으로 이 5명이 학습하는데 도움이 될 자료와 미니 프로젝트를 찾고 미리 공부해보고 매주 발표자료를 준비하고 스터디가 끝나고 열정적으로 질문을 받으면서 불태웠던 것 같아 뭐 멋사 프로젝트는 귀여운 정도로 개발을 끝냈지만,,ㅎㅎ 그리고 올해 초에 구름톤을 하면서 프론트의 쓴 맛을 한 번 봤지,,, 나에 비해 실력이 너무 뛰어난 프론트엔드와 같이 개발을 해야했고 I..

🤗 쿠버네티스란?컨테이너를 쉽고 빠르게 배포, 확장 및 관리를 자동화해주는 오픈소스 플랫폼 전통적인 배포 시대에서는 하나의 CPU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했고 이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아니었다. 이후 하나의 물리 서버의 CPU에 여러 가상 머신을 실행하여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가상화 방법이 도입되었다. 더 나아가 애플리케이션 간 OS까지 공유하는 컨테이너 기능이 탄생했다. 컨테이너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배포 및 관리하고 제어, 모니터링, 스케일링, 네트워킹을 관리하는 도구를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이라고 한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의 종류에는 Doker Swarm, Apache Mesos, Normard 등이 있지만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이 이번에 배울 쿠..

CPU의 레지스터 그리고 메인 메모리와 달리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보존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로는 HHD와 SSD가 있다. HHD - Hard Disk Drive 회전하는 디스크 플래터위에 자석 성질을 가진 자기 헤드로 데이터를 읽고 기록한다. HHD는 물리적인 움직임을 수반하기 때문에 진동이나 충격에 민감하고 기계적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Access Latency : Seek Time + Rotation Delay + Transfer Time - Seek Time : arm을 움직여 원하는 트랙으로 이동하는 시간 - Rotation Delay : 디스크가 회전해서 원하는 섹터로 이동하는 시간 - Transfer Time : 실제로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 시간 이처럼 HHD는 물리적인 디스크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