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K-MOOC 단국대학교 홍보단
- 블록체인강의
- K-MOOC
- 혁신의기술2:신뢰의미래 블록체인을 만나다
- 블록체인 강의
- CSS 기초
- 자바문자열구분
- 해시
- Entity
- 오블완
- StringTokenizer
- national instruments
- 2차원배열정렬
- 우선순위큐
- 자바입력받기
- 자바
- biginteger사용법
- Node
- 단국대학교 k-mooc
- html기초
- 자바스크립트
- 티스토리챌린지
- 디스크블록할당
- 블록체인
- 컴파일시스템
- 딥러닝
- 머신러닝
- 시스템프로그래밍
- TypeScript
- stringreader
- Today
- Total
목록CS/OS (11)
열정 실천

SSH : Secure SHell "원격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네트워크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여 명령을 실행하고 정보를 보고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 프로토콜사용자가 접속에 사용하는 컴퓨터를 클라이언트, 접속하고자 하는 목적지 컴퓨터를 서버라고 한다. Shell 쉘 OS 커널과 사용자 간의 다리 역할로 사용자로부터 명령어를 받으면 그것을 해석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가 윈도우에서 흔히 사용하는 cmd 창과 같은 것이다. ssh 사용 이유 - 사용자 및 자동화된 프로세스에 원격 접속 시 - 자동화된 파일 전송 시 - 원격 명령 실행 시 - 네트워크 인프라와 중요 시스템 관리 시👉 안전한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 포트포워딩 내부 네트워크에 있는 특정 기기에 접..

vim vim Linux의 대표적인 텍스트 편집기로 vi와 호환된다. vim은 입력모드, 명령모드, ex모드 3가지 모드를 가지고 있다. 1. 명령모드 - 처음 vim 명령어로 편집기를 실행하면 들어가는 모드이다. - 문서를 실제로 편집하기 위해서는 i 나 a를 입력해야한다. - 이 모드에서 복사, 붙여넣기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2. 입력모드- 실제로 문서를 편집하기 위한 모드이다. 3. ex모드- 입력을 마친 후 저장을 하거나 종료를 할 수 있다. - w : 저장 / q : 종료 / i : 취소 입력모드에서 입력을 끝내고 esc 키를 누른 뒤 :wq 를 입력하고 enter를 치면! 저장하고 편집기 종료! gcc gcc란? 컴파일러. 소스파일을 이용해 실행파일을 만들 때까..

프로세스 :: 실행 중인 프로그램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메모리 상에 로드되면 그것을 프로세스라고 부른다. # 프로세스 vs 프로세서 프로세서는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인 CPU를 지칭하는 하드웨어이다. 프로세스가 생성되는 4가지 단계 1. 프로세스 제어 블록(PCB) 생성2. 프로그램 메모리 할당 (메모리 세그먼트 참고)3. 바이너리 프로그램 적재 (디스크->메모리)4. 프로그램 초기화 메모리 세그먼트 프로세스가 실행될 때 관련된 데이터가 관리되는 메모리상의 한 부분Text 세그먼트 (코드 세그먼트)Data 세그먼트Heap 세그먼트 Stack 세그먼트각각의 세그먼트에 저장되는 데이터 *static 변수 :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순간 data 세그먼트에 저장된다. 프로세스 상태 전이도 ..

시스템 콜 System call 이란? 응용 프로그램과 운영체제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파일을 저장하고 불러오거나 프로세스를 관리를 위해 시스템을 호출하려면 유저모드가 아닌 커널모드에서만 작업을 수행해야한다. 우리가 주로 작성하는 c, java 등의 응용 프로그램들은 직접 시스템 호출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시스템 콜 API를 통해 커널모드를 통한 작업을 수행한다. *메모리에 상주하는 운영체제의 부분을 kernel(커널)이라고 한다. 시스템 호출의 유형 5가지 1. 프로세스 제어 _ Process Control2. 파일 조작 _ File Manipulation3. 장치 조작 _ Device Manipulation4. 정보 유지 보수 _ Information Maintance5. 통신과 보호 _ ..

가상화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반으로 물리 컴퓨터 하드웨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세스이다. 가상화 기술로는 VM (가상머신)과 컨테이너가 있다. 가상머신 VM 가상화 전에는 하나의 물리 머신에 단일 OS가 설치되어 있다면 가상화 후에는 각각의 OS와 실행환경(CPU, 메모리, 디스크 등)을 독립적으로 가지는 가상머신이 2개 존재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 물리 서버를 여러 논리 서버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하지만 독립적인 VM을 생성할 때마다 Guest OS를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자원 이용면에서 비효율적이다. VM을 생성해주는 도구인 하이퍼바이저는 VM들에게 자원을 할당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번 실습 때 사용하는 Virtual Box이 이에 해당한다. 컨테이너 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