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블록체인 강의
- 자바문자열구분
- Entity
- K-MOOC 단국대학교 홍보단
- 시스템프로그래밍
- stringreader
- 딥러닝
- 블록체인
- 티스토리챌린지
- biginteger사용법
- html기초
- Node
- CSS 기초
- 자바입력받기
- 블록체인강의
- national instruments
- TypeScript
- 오블완
- 자바
- 머신러닝
- 2차원배열정렬
- 단국대학교 k-mooc
- StringTokenizer
- 컴파일시스템
- 자바스크립트
- 혁신의기술2:신뢰의미래 블록체인을 만나다
- 디스크블록할당
- 해시
- 우선순위큐
- K-MOOC
Archives
- Today
- Total
열정 실천
[React] useEffect 사용법 - mount, unmount, update 본문
728x90
useEffect
클래스형 컴포넌트의 생명주기 함수 중
componentDidMount, componentDidUpdate, componentWillUnmout 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1. 마운트 됐을 때 (처음 컴포넌트가 화면에 나타날 때)
2. 업데이트 될 때 (특정 props가 바뀔 때)
3. 언마운트 됐을 때 (컴포넌트가 소멸되기 직전에)
🔊 사용 방법
우선 useEffect hook을 사용하기 위해서 import 해준다.
import React, {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1. 마운트(mount) 됐을 때
useEffect의 첫 번째 인자인 함수에 실행할 코드를 작성한 후, 두 번째 인자에 이렇게 빈 배열을 두면 된다.
useEffect(()=>{
console.log('마운트!!');
}, [ ]);
2. 언마운트(unmount) 됐을 때
useEffect의 첫 번째 인자인 함수의 return 값으로 언마운트시 실행할 코드를 작성해주면 된다.
useEffect(() => {
// mount
console.log('마운트');
return() => {
// unmount
console.log('언마운트');
}
}, [ ]);
3. 업데이트(update) 될 때마다
두 번째 인자인 배열을 아예 비워둔다!
useEffect(()=>{
console.log('마운트 + 업데이트 될 때 마다 실행');
});
728x90
'개발 공부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백엔드 없이 빠른 API 구현 :: Json-Server 사용법 (0) | 2025.01.04 |
---|---|
[React] 서버 데이터 관리 :: React-Query 사용하기 (1) | 2025.01.03 |
[React] useState 사용법 (+ 배열 or 객체 state 값 변경) (0) | 2023.07.28 |
[React] 리액트의 꽃, 컴포넌트 - 함수형 컴포넌트, import&export (0) | 2023.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