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정 실천

[클라우드] 아마존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 AWS 성공 비결 본문

CS/공부노트

[클라우드] 아마존은 어떻게 성장했는가 - AWS 성공 비결

구운오니 2025. 1. 19. 20:54
728x90

 
온라인 쇼핑몰에서 시작해 현재는 주요 IT 기업의 인프라를 담당하고 있는 아마존! 
 
아마존이 클라우드 서비스 기장에서 성공한 비결에 대해 알아보자
 
아마존은 클라우드 시장을 개척한 선도 기업이다. 아마존이 2006년 AWS를 처음 내놓았을 당시 업계 반응들은 냉담한 반응이었다. 아무대로 처음으로 시장에 발을 내디뎠기 때문에 다들 낯설었을 것이다. 이때 아마존은 사용자를 어떻게 끌어들였을까?
 

1. 낯선 신기술인 클라우드를 알리고 교육하기

아마존이 처음 클라우드 서비스를 소개했을 때, 대부분의 기업들의 인식을 바꾸기 위해 아마존은 광범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AWS 홈페이지에 무료 교육 콘텐츠와 자습 자료를 제공해 누구나 쉽게 클라우드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유튜브에 다양한 튜토리얼 영상을 업로드하며, 더 많은 사용자와 소통했다. 

아마존이 클라우드에 확신을 가지고 사업을 확장하는 동안 다른 회사는 비관적이었기 때문에 6~7년간 아무런 경쟁자 없이 클라우드 시장 초기에 경쟁 없는 독점적 지위를 누릴 수 있었다.
 

2. 고객과 밀접하게 교류하기

서비스를 시장에 내놓고 써보세요~ 하는 것이 아니라 위와 같은 방식으로 교육에 앞장섰고, 프로토 타입을 만들어 고객에게 사용을 요청하고 피드백을 적극 수용하며 개선해나갔다. 
 
 
아마존은 이렇게 초기에 확보한 고객 기반을 바탕으로 아마존의 성장 전략으로 유명한 '플라위휠' 전략을 가동했다!
 
 

3. 플라이휠(Flywheel) 전략으로 확장하기

 
고객이 늘어날수록 더 많은 데이터와 피드백이 쌓이며 서비스 품질이 향상되었다. 품질 향상은 더 많은 신규 고객을 유치했고, 이는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며 서비스 비용을 낮추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었다.  결과적으로 AWS는 경쟁자가 없는 초기 시장에서 빠르게 스케일업하며 독보적인 지위를 구축할 수 있었던 것이다!
 
 
플라이휠 전략의 선순환은 다음과 같다. 
 
가격을 낮춰 고객을 모은다.
고객이 늘면 물건을 팔려는 판매자들이 많아진다.
규모가 커지면 고정비용이 낮아지고 효율성이 높아진다.
효율성이 높아지면 가격을 더 낮출 수 있다.
 
 

플라이휠 전략

 
 
 
 
이렇게 성장한 아마존의 aws는 유명한 데이버 기반의 IT 회사들이 많은 사용료를 지불하며 사용하고 있다. 
 

 
 
🤔 반면에 구글의 GCP는 왜 aws만큼 성장하지 못했을까?
구글 클라우드의 기술은 BTB가 아닌 BTC 중점의 상품이 많기 때문에 사용자가 많아야 사용하는 IT자원과 비용이 현저히 적다. 예를들면 구글드라이브, 구글포토, 구글 docs 이런 것들! 다 개인인 내가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들이다. GCP는 주로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빅데이터 등 고급 기술에 강점을 보이지만, 인프라와 플랫폼 서비스에서는 AWS와 Azure에 비해 상대적으로 서비스 범위가 좁은 것 또한 그 이유이다.

728x90